Jinsu's Technical Blog
  • 홈
  • 태그
  • 방명록
  • 메뉴 닫기
  • 글작성
  • 방명록
  • 환경설정
    • 분류 전체보기 (250)
      • Java (18)
      • Spring Framework (33)
        • Toby's Spring 3.1 (6)
        • Spring IoC (6)
        • TDD (6)
        • Reflection (6)
        • AOP (6)
      • Spring Boot (11)
      • Spring Security (22)
      • Database (17)
        • Mysql (2)
        • JDBC (2)
        • JPA (13)
      • Build and Development Tools (3)
        • Maven (1)
        • Gradle (1)
        • Lombok (1)
      • Network (12)
      • Apache Tomcat (11)
      • Microservices Architecture (33)
      • Linux (9)
      • React (10)
      • Docker (22)
      • OAuth (10)
      • DevOps (2)
      • Git (2)
      • HTML (1)
      • CSS (1)
      • JavaScript (1)
      • Problem and Solution Guide (8)
        • Java (1)
        • Spring Framework (4)
        • Reflection (1)
        • Dynamic Proxy (1)
        • JPA (1)
      • Note-Taking (23)
  • 홈
  • 태그
  • 방명록
Java

C/C++ 프로그래밍 기초: 포인터, 반복문, 클래스, 그리고 Java의 데이터 타입

1. 포인터 변수 포인터는 C/C++ 언어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변수나 배열의 메모리 주소를 가리키는 변수입니다. 이는 자바와 같은 언어에서는 직접적으로 사용되지 않지만, 메모리 관리와 효율적인 프로그래밍을 위해 꼭 알아두어야 할 개념입니다.#include int main(){ int x = 5; int* px = NULL; // 포인터 변수 선언 및 초기화 px = &x; // x의 주소를 포인터 변수에 저장 *px = 15; // 포인터를 사용하여 x의 값을 변경 printf("x is: %d \n", x); int array[] = {1, 2, 3, 4, 5}; // 배열 선언 int* pArray = array; // 배열의 시작 주소를 포인터에 ..

2024. 7. 1. 08:51
Java

컴퓨터 디지털 논리 회로와 관련 개념 정리

컴퓨터 디지털 논리 회로와 관련 개념 정리 컴퓨터의 디지털 논리 회로는 컴퓨터 하드웨어의 핵심을 형성하는 기본적인 구성 요소로, 이진수(0과 1)를 사용하여 정보를 처리하고 저장합니다. 이 글에서는 디지털 논리 회로와 관련된 주요 개념을 소개하고, 메모리 및 CPU 관련 개념들을 정리하였습니다. 1. 디지털 논리 회로 디지털 논리 회로는 기본적으로 논리 게이트로 구성됩니다. 논리 게이트는 다음과 같은 기본 연산을 수행합니다:  • AND 게이트: 두 입력이 모두 1일 때만 출력이 1입니다. • OR 게이트: 두 입력 중 하나라도 1이면 출력이 1입니다. • NOT 게이트: 입력이 1이면 출력이 0, 입력이 0이면 출력이 1입니다. • NAND 게이트: AND 게이트의 반대로, 두 입력이 모두 1일 때 출..

2024. 6. 26. 17:20
Java

컴퓨터 구조론 기초

컴퓨터 과학 기본 개념 1. 비트와 바이트  • 비트 (Bit): 컴퓨터에서 가장 작은 정보 단위로, 0 또는 1의 값을 저장. 2진수로 동작하는 컴퓨터의 기초이며, 전기 신호의 상태를 나타냄. • 바이트 (Byte): 8개의 비트로 구성되며, 256가지의 값을 표현. 일반적으로 1바이트는 문자 하나를 표현하는 데 사용되며, 컴퓨터에서 데이터의 최소 처리 단위로 사용됨. • 비트와 바이트의 관계: • 1 바이트 = 8 비트 • 1 킬로바이트(KB) = 1024 바이트 • 파일 크기는 바이트 단위로 측정되며, 메모리와 저장 장치의 기본 단위로 사용됨. 2. 메모리 단위 메모리는 기본적으로 2의 제곱을 기준으로 단위를 나눔.  • 킬로바이트 (KB): 1KB = 1024 바이트 • 메가바이트 (MB): 1M..

2024. 6. 25. 17:02
  • «
  • 1
  • 2
  • »

공지사항

  • Jinsu's GitHub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250)
    • Java (18)
    • Spring Framework (33)
      • Toby's Spring 3.1 (6)
      • Spring IoC (6)
      • TDD (6)
      • Reflection (6)
      • AOP (6)
    • Spring Boot (11)
    • Spring Security (22)
    • Database (17)
      • Mysql (2)
      • JDBC (2)
      • JPA (13)
    • Build and Development Tools (3)
      • Maven (1)
      • Gradle (1)
      • Lombok (1)
    • Network (12)
    • Apache Tomcat (11)
    • Microservices Architecture (33)
    • Linux (9)
    • React (10)
    • Docker (22)
    • OAuth (10)
    • DevOps (2)
    • Git (2)
    • HTML (1)
    • CSS (1)
    • JavaScript (1)
    • Problem and Solution Guide (8)
      • Java (1)
      • Spring Framework (4)
      • Reflection (1)
      • Dynamic Proxy (1)
      • JPA (1)
    • Note-Taking (23)

블로그 인기글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 Jinsu's Technical Blog All rights reserved. TistoryWhaleSkin3.4

티스토리툴바